본문 바로가기
ABA치료 - ABA Therapy

PECS(사진 교환 의사소통 시스템)의 단계별 적용법

by DioJin 2025. 2. 6.
반응형

PECS란 무엇인가?

PECS(사진 교환 의사소통 시스템, 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System)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를 포함한 다양한 의사소통 장애를 가진 아동이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돕는 체계적인 교육 방법입니다.

ABA(응용행동분석, Applied Behavior Analysis) 원칙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특히 비구어(말을 하지 않는) 또는 제한된 언어 능력을 가진 아이들에게 매우 효과적입니다.

 

PECS의 단계별 적용법

PECS는 총 6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계는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을 점진적으로 발전시키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를 ABA 기반으로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단계별로 설명하겠습니다.

 

1단계: 물건 교환 (Physical Exchange)

첫 번째 단계에서는 아동이 원하는 물건의 사진(혹은 그림 카드)을 성인에게 건네주는 법을 배웁니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는 **강화물(아이가 원하는 것)**을 사용하여 동기를 부여하는 것입니다.

 

적용 방법

  • 아이가 선호하는 강화물을 식별(선호도 평가)합니다.
  • 강화물의 사진을 준비합니다.
  • 아이가 강화물을 원할 때, 손을 잡아 사진을 성인에게 건네도록 유도합니다.
  • 사진을 건네면 즉시 강화물을 제공합니다.
  • 여러 번 반복하며 자발적인 사진 교환을 유도합니다.

ABA 적용 포인트

  • 긍정적 강화(Positive Reinforcement)를 즉각 제공하여 행동을 증가시킵니다.
  • 촉진(Fading Prompting) 기법을 사용하여 점진적으로 도움을 줄여나갑니다.

2단계: 자발적 의사소통 (Expanding Spontaneity)

아동이 사진 교환 행동을 자발적으로 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단계입니다.

이때부터 아이가 직접 사진을 찾아 성인에게 건네는 연습을 합니다.

 

적용 방법

  • PECS 바인더(의사소통 책)를 도입하여 사진을 정리합니다.
  • 아이가 사진을 선택하고 직접 찾아 성인에게 전달하도록 유도합니다.
  • 목표는 최소 5개의 다른 아이템을 자발적으로 요청하는 것입니다.

ABA 적용 포인트

  • 자연스러운 기회에서 강화물을 사용하여 자발적 행동을 촉진합니다.
  • 대기 시간(Wait Time)을 적용하여 아이가 스스로 행동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반응형

3단계: 그림 구별하기 (Discrimination Between Pictures)

아이가 여러 개의 사진 중에서 원하는 것을 정확하게 선택하여 요청할 수 있도록 훈련합니다.

 

적용 방법

  • 강화물을 두 개 이상 제시하고 아이가 원하는 사진을 선택하도록 유도합니다.
  • 올바른 사진을 선택하면 즉시 강화물을 제공합니다.
  • 실수를 줄이기 위해 점진적 교정을 제공합니다.

ABA 적용 포인트

  • 오답을 선택할 경우 차별적 강화(Differential Reinforcement)를 사용합니다.
  • 아이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쉬운 과제에서 어려운 과제로 점진적 이동을 합니다.

4단계: 문장 만들기 (Sentence Structure)

이 단계에서는 아이가 "나는 ~~를 원해요" 형태의 간단한 문장을 만들도록 가르칩니다.

 

적용 방법

  • "I want" 또는 "나는 원해요" 문장 띠를 사용하여 문장 구조를 익히도록 합니다.
  • 원하는 물건의 사진을 붙여 문장을 완성하도록 유도합니다.
  • 문장을 완성한 후 성인에게 건네면 강화물을 제공합니다.

ABA 적용 포인트

  • 문장을 구성하는 순서를 체계적으로 지도하며 점진적 독립을 유도합니다.
  • 강화물을 제공할 때 아이가 말로 함께 따라 하도록 촉진합니다(에코익 훈련 포함).

5단계: 질문하기 (Answering Questions)

아이가 다른 사람이 던지는 "무엇을 원해?" 같은 질문에 올바르게 응답하는 연습을 합니다.

 

적용 방법

  • 처음에는 열린 질문보다는 "너는 무엇을 원해?"와 같은 구조화된 질문을 사용합니다.
  • 아이가 문장 띠를 사용하여 대답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올바른 대답을 하면 즉시 강화물을 제공합니다.

ABA 적용 포인트

  • DTT(Discrete Trial Training, 개별시행훈련)를 활용하여 응답을 강화합니다.
  • 오류 수정 방법(Error Correction)을 적용하여 정답률을 높입니다.

6단계: 자발적 의사소통 확장 (Commenting and Conversing)

이 단계에서는 단순한 요청을 넘어서 사회적 의사소통(Social Communication)을 확장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적용 방법

  • "너는 무엇을 보았어?" "너는 무엇을 가지고 있어?" 같은 다양한 질문을 추가합니다.
  • 아이가 대화를 지속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 다양한 환경에서 연습하여 일반화를 촉진합니다.

ABA 적용 포인트

  • 강화물을 점진적으로 줄여 내재적 동기(Intrinsic Motivation)를 증가시킵니다.
  • 일반화(Generalization) 기법을 활용하여 새로운 환경에서도 의사소통을 유지하도록 합니다.

PECS는 단순한 그림 교환에서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문장 구성, 질문 응답, 대화 확장까지 이어지는 체계적인 의사소통 훈련입니다. ABA 원칙을 기반으로 긍정적 강화, 차별 강화, 촉진 및 점진적 교정을 적용하면 PECS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PECS 훈련을 고려할 때 중요한 키 포인트

  • 아이의 선호도를 반영한 강화물 선택이 중요합니다.
  • 단계별로 진행하되 아이의 속도를 고려하며 진행합니다.
  • 자발적 행동을 촉진하기 위해 대기 시간을 조절합니다.
  • 일반화를 위해 다양한 환경에서 연습합니다.

PECS는 자폐 아동뿐만 아니라 다양한 언어 지연을 겪는 아이들에게도 효과적인 의사소통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체계적인 접근과 지속적인 연습을 통해 아이들이 더 나은 의사소통 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반응형